회계사, 세무사 차이 채용업무부터 연봉까지 총정리

회계사, 세무사 차이 업무부터 연봉까지 총정리

우리는 살아가면서 세금을 내게 되고, 우리가 낸 세금은 다시 사회에서 쓰이게 된다. 세금은 사람마다 그 금액이 달라지지만 세금의 종류도 많고 정해진 기간 동안 신고 등의 일도 해야 한다.하지만 이런 업무를 보고 시간적 여유가 없거나 잘 모르는 사람도 많아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기도 하다. 오늘 알아볼 회계사와 세무사가 바로 세금 업무를 담당하는 주요 전문가들이다. 회계사와 세무사의 차이

회계사란?

정식 명칭은 공인회계사다. 타인의 위촉에 의하여 회계에 관한 괌사, 감정, 증명, 계산, 정리, 입안 또는 회계 및 세무대리업무를 직무로 하는 자를 말한다. 세무사란?

세무업무를 처리하는 전문직업으로 세금납부의무가 있는 납세자에게 위임되어 조세관련 신고, 신청, 청구 업무를 대신 수행한다.두 직업 모두 세금, 회계, 세무 업무가 있다 보니 비슷한 직업처럼 보여 헷갈리는데 두 직업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자. 회계사와 세무사의 차이

1) 하는 일/업무차이 회계사와 세무사의 가장 큰 차이는 업무영역에 있다. 쉽게 말해 하는 일에 차이가 있다.세무사는 명칭대로 세무에 관한 일을 하지만 세부 사법에 정해진 납세자 대신 각종 세금을 신고하는 것을 대리한다. 한마디로 세무대리라고 표현하고 있다.회계사는 공인회계사법에서 전달한 업무를 담당하지만 세무대리 업무도 하고 고유 업무 영역인 회계감사도 할 수 있다. 일정 규모 이상의 회사는 재무제표를 작성한 뒤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를 받아야 하는데 회계사만 외부감사인으로 업무를 볼 수 있다.회계사가 세무사보다 큰 단위 영역이어서 세무사 업무를 회계사가 담당할 수 있다. 반대로 세무사는 회계사 업무의 일부이기 때문에 회계사의 세무 업무 외에는 담당할 수 없다.

2) 세무대리 대상인 차이 세무대리 업무는 회계사와 세무사가 모두 할 수 있다. 다만 고객이 바뀐다.세무사는 주로 자영업자 소상공인, 스타트업, 벤처 주요 소기업 등을 대상으로 기장 대리와 각종 세금 신고를 대행한다. 고객 규모가 작고 보통 개인 사무실 형태로 근무한다.회계사의 주 고객은 코스피, 코스닥 상장사 등 규모가 있는 기업들이다. 외각법에 따라 자산 120억, 매출 100억 이상 등의 기준을 충족해야 회계 3사를 받을 수 있다. 회계감사 대상 기업의 세무대리와 컨설팅 업무를 담당한다.

3) 연봉 회계사와 세무사는 업무인 만큼 연봉에도 차이가 있다.세무사 초봉은 연 2,500만원 정도지만 전문직이다 보니 연차가 쌓이면서 연봉도 올라간다. 세무사 5년차 정도의 연봉은 대략 8000만원에서 9000만원 정도다.회계사는 세무사보다 높은 연봉을 받는다. 초봉이 연간 5,000만원 정도 수준이고, 5년차 이상 경력이 쌓이면 1억 이상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이처럼 세무사와 연봉에 차이가 있는 점은 회계사만이 할 수 있는 감사 업무가 있기 때문이다.4) 시험 난이도 각종 블로그, 시험 갤러리 등을 통해 세무사와 회계사 시험의 시험 난이도를 볼 수 있는 경험담이 많다.주요 과목인 회계학의 경우 세무사와 회계사의 난이도가 비슷하지만 회계사 시험에서 범위가 더 넓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세무사 시험은 4문제만 출제되며 준비 여부에 따라 수험생활 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세법이나 세법학 또한 주요하지만 세무사 시험이 더 어렵고 난이도가 높다고 한다. 옛날에는 비슷한 자격증이라는 말도 있었지만 지금은 개업에 욕심이 있으면 세무사 시험을 보고 월급의 안정성을 원한다면 회계사 시험을 보는 것 같다. 회계사 준비회계사가 되기 위해 CPA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시험과목, 합격률 등을 알아보자.1) 시험과목-1차 시험: 경영학, 경제원론, 상법, 세법개론, 회계학(50문항) 객관식 시험-2차 시험: (1일차) 세법, 재무관리, 회계감사, (2일차) 원가회계, 재무회계 주관식 시험 등 1차 시험에서는 모든 과목이 객관식으로 출제되며 회계학 50문항을 제외한 나머지 4과목은 40문항씩 출제된다.2차 시험은 이틀에 걸쳐 치러지며 모두 서술식 문제가 출제된다. 재무회계 150문항, 150점 만점을 제외한 나머지 과목은 120분,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한다.2) 합격률-1차 시험: 지난 5년간 16~23%-2차 시험: 지난 5년간 32~33%, 2019년부터 2023년까지 합격률은 16~23% 내외였지만, 2023년에도 합격률이 19.1%를 기록했다. 2023년 1차 최저 합격 점수는 351.0점이었다고 하니 참고하기 바란다.2차 시험은 합격률이 매년 같은 수준을 보이는데 1차보다 쉬워 합격률이 오른 것이 아니라 응시 인원이 1차에서 제외됐기 때문에 좀 더 오른 것이다. 2차 시험은 근소한 차이로 합격 여부를 결정할 정도로 답안 작성에 집중해야 한다. 세무사 준비1) 시험과목-1차시험:재정학,세법학개론,회계학개론,선택과목객관식시험-2차시험:회계학1부,2부,3부,4부주관식시험1차시험은4과목이나오는데영어과목이따로있지만공인영어성적을제출하여대체되고있어영어성적을미리준비해야한다. 영어 과목을 제외한 나머지 4개 과목은 40문제씩 출제돼 과목당 40분간 풀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 여유가 없다.2차 시험은 4과목으로 구성돼 있는데 과목마다 90분 동안 4과목을 풀도록 돼 있다. 논술형 시험이기 때문에 2차 시험도 시간적 여유가 있는 것은 아니다.2) 합격률-1차 시험: 최근 3년간 합격률 23.25%-2차 시험: 최근 3년간 합격률 13.3%, 최근 합격률이 올라가는 추세인 것 같다. 그만큼 지원자도 늘고 있어 기초를 탄탄하게 준비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23년도 합격률은 1차 15.72%, 2차 11.36%를 기록했다. 마무리지금까지 회계사와 세무사의 차이 업무부터 연봉까지 총정리에 대해 알아봤다. 회계사 세무사의 차이가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지금까지 회계사와 세무사의 차이 업무부터 연봉까지 총정리에 대해 알아봤다. 회계사 세무사의 차이가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

error: Content is protected !!